기본지식9 패킷 패킷이란? Package와 bucket(덩어리)의 합성어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쉽게 자른 데이터의 전송단위. 즉, 카톡, 이메일 등 인터넷을 통해 테이터를 전송할 때 다양한 데이터의 내용을 작은 단위로 쪼갠 데이터. 사용 이유 : 데이터를 전송할때 분할하지 않고 파일을 통째로 보낸다면 1TB의 크기를 전송할때, 오류가 없이 전송이 되었으면 다행이지만, 도중에 잘못된 데이터가 하나라도 들어간다면 다시 1TB를 전송해야 하여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패킷을 사용하여 1MB씩 분할하여 전송하면, 1번 패킷 전송 => 수신확인 => 2번 패킷 전송 => 수신확인 이런식의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는데 중간에 오류가 발생한다면 해당하는 패킷의 번호만 다시 전송하면 되어 효율적이다. 구성요소 : 헤더 : 수신처의 인터.. 2023. 4. 28. 절차지향과 객체지향 절차지향(Procedural Programming) : 대표적 언어 : C언어 순차적인 처리가 중요시 되며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만드는 기법이다. 특징 : 데이터를 중심으로 함수를 구현한다. 장점 : 컴퓨터의 처리구조와 비슷해 실행속도가 빠르다. 단점 : 유지보수가 어렵다. 실행 순서가 정해져 있어 코드의 순서가 바뀌면 결과가 보장되기 어렵다. 디버깅이 어렵다. 객체지향(OOP, Object Oriented Programming) : 대표언어 : C++, C#, JAVA 실제 세계를 모델링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 특징: 데이터와 절차를 하나로 묶어서 생각하며, 자동차의 부품을 하나씩 사서 조립하는 것과 비슷하다. 객체지향의 특성 1. 캡슐화 :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 2023. 4. 28. 프레임 프레임이란? 매번 새로 그리는 각각의 화면을 프레임이라 한다. 즉 동영상을 물리적으로 보면 시간상에 연속된 정지 사진(프레임)들의 모음으로 볼 수 있다 프레임률 : Frame Rate 프레임이 보이는 속도 (1초에 몇장의 프레임이 보이는가) 프레임률 단위 : fps, Hz(모니터 주사율(refresh rate)과 다름) 모니터 주사율 : 화면 재생 빈도 라고하며 모니터가 그래픽 카드에서 제공한 프레임을 얼마나 자주 새 프레임으로 교체하는지의 수치. 모니터의 성능에 따라 좌우된다 주사율이 좋아도 그래픽카드에서 초당 프레임을 못 받쳐주면 의미 없다. 초당 프레임 : fps (Frame per Second) 1초 동안 프레임이 새로 그려지는 횟수. 그래픽카드의 성능에 따라 변한다. 초당 프레임이 120fps가.. 2023. 4. 28.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과 프로세스와의 차이 프로그램(Program) :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실행을 기다리는 코드와 데이터덩어리 프로세스(Process) : 실행중인 프로그램 으로 실행을 위해 메모리(주기억장치)에 올려진 프로그램을 뜻한다. 즉 프로그램의 코드와 데이터가 메모리에 올라가면 프로세스가 된다. 프로그램 -> 실행 -> 프로세스 인스턴스 생성( = 메모리(Ram)에 적재) 프로세스들간에는 서로 메모리를 공유하지 않는다. 스레드 (cpu 이용의 기본단위)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 (흐름의 단위). 각 스레드는 ID, 프로그램 카운터, 레지스터 집합, 스택으로 구성되어있다. 모든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스레드가 존재하며 스레드가 하나만 있으면 싱글(단일)스레드 두개이상 있으면 멀티(다중)스레.. 2023. 4. 2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