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3 Call by value, Call by reference call by value(값에 의한 호출) 함수를 호출 하면서 값을 복사하여 전달하는 방식을 값에 의한 호출(Call by value) main() 함수에서 swap() 함수로 변수를 전달하면서 변수를 직접 참조하는게 아니라 변수의 값이 복사되기 때문에 swap() 함수안에서 a, b를 바꿔도 복사본이 바뀌고, main() 함수 안의 변수 값은 바뀌지 않음. Call by Reference (주소에 의한 호출) 함수에서 값의 복사가 아닌 주소를 다른 함수에 전달하는 방식이 주소에 의한 호출 (Call by reference) main() 함수에서 swap() 함수로 a, b의 주소값을 전달한다. swap()함수의 매개변수는 주소값을 저장할 수 있는 포인터여야만 한다. swap()함수안에 포인터 변수는 m.. 2023. 4. 28. 이중포인터 정수형 변수 생성 : int a; 포인터 변수 : 주소를 저장할 수 있는 변수. 정수형 포인터 생성 : int *b = &a; 그렇다면 포인터 변수의 주소를 저장할 수 있는 변수는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포인터의 포인터 변수를 사용하여 만든다. 즉,이중포인터 int **c = &b; 의 형태로 만든다. ex) int a = 10; 정수형 변수 a생성 후 10으로 초기화 (100번지) a에 저장된 값 : 10, a의 주소값 : 100번지 int *b = &a; 정수형 포인터변수 b 생성 후 변수a의 주소값 저장. b에 저장된 값 : 100번지, b의 주소값 : 200번지 int **c = &b; 정수형 이중포인터 변수 C 생성 후 포인터변수 b의 주소값 저장 b에 저장된 값 : 100번지, b의 주소값 :.. 2023. 4. 28. 변수 타입 확인 (typeof) 연산자 typeof 연산자는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리턴하는 연산자다. 문법 : typeof(variable), typeof variable 리턴되는 값의 종류: undefined : 변수가 정의되지 않거나, 값이 없을때 number : 데이터 타입이 수일때 string : 데이터 타입이 문자,(열)일때 boolean: 데이터 타입이 true, false(불리언)일때 object : 데이터 타입이 객체일때 (배열, 클래스 등) function : 데이터 타입이 함수일때 symbol : 데이터 타입이 심볼일때 예시 2023. 3. 29. 이전 1 다음